조금 더 안정적인 상장지수펀드(ETF)는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효율적인 투자 수단이기 때문에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도 접근성이 좋습니다. 이전에도 몇 번 다룬 적이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초보 투자자를 위한 ETF의 기본 개념과 투자 가이드를 다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Table of Contents
어쩌면 이전에 작성한 글과 중복되는 내용이 있을 수도 있어요.
대부분 처음 상장지수펀드에 투자를 시작하는 분들에게 맞춰 쉽게 가이드라인을 정리할 텐데 이미 알고 있는 분들은 PASS 하셔도 좋습니다. 이전글을 먼저 읽어 보실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관련 글 :
자, 그럼 기본부터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ETF - 먼저 알아두어야 할 것들
ETF가 상장지수펀드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특정 지수, 자산군을 설정하여 그 성과를 추종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초보자가 접근하기 쉬운 이유는 비교적 안정적이며 분산 투자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소액으로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부담이 적달까요. 재린이에게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 개념
먼저 알아둘 것은 4가지입니다. ETF 하면 딱 생각해야 할 것들입니다.
- 펀드처럼 운용된다.
- 지수를 추종한다
- 운용 비용이 낮다
- 유동성이 좋다
간단하죠? 서두에서 언급한 것처럼 ETF는 하나가 아닌 다양한 종목을 묶어 구성하는 펀드입니다. 또한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사고팔 수 있어요.
아래에서 설명할 텐데 특정 지수를 추종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지수(예 : 코스피 200 등), 또는 금이나 원유, 채권까지 그 움직임을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이것들의 움직임에 수익이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ETF 기본 종류
여러 종목을 추종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기본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추종하는 자산이나 운용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는데 대표적으로 4가지 정도 보시면 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 보세요.
주식형 ETF 특정 주가 추종 |
원자재 ETF 금·은·원유 가격 추종 |
채권형 ETF 국채, 회사채 등에 투자 |
테마형 ETF 특정 산업이나 트렌드 |
이렇게 구성이 됩니다.
테마형 ETF와 같은 경우는 요즘 이슈로 떠오르는 AI(인공지능), 클린에너지, 메타버스 등의 특정 산업이나 트렌드 부류에 투자하는 종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약간의 특징이 있습니다.
각각의 예시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ETF 종류 | 예시 |
주식형 | - S&P 500 (SPY) - KOSPI 200 - TIGER 200 |
채권형 | - KOSEF 국고채 10년 - ACE 국고채 3년 - iShares U.S Treasury Bond ETF (GOVT) |
원자재 | - KODEX 골드선물 (H) - TIGER 금은선물(H) - SPDR Gold Shares(GLD) |
테마형 | - TIGER 전기차 SOLACTIVE - KODEX 미국클라우드나스닥 - Global X Robotices & AI ETF(BOTZ) |
이러한 종류들을 대표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종류를 보자면 무척 많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작하기 전 충분한 학습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2. ETF 투자, 쉽기만 할까?
고려해야 할 것들
마냥 쉬운 것은 없습니다. 어떤 것을 시작하든 그에 대한 책임은 오롯이 본인의 몫이기 때문에 처음 ETF를 시작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중요한 점들을 꼭 알아두시고 시작하세요.
크게 다음과 같이 4가지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 투자의 목적을 정할 것
- 운용 보수와 비용을 따져볼 것
- 유동성의 유무를 확인할 것
- 실제 추종 지수와의 일치 여부 확인
이 부분은 꼭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본인이 단기적으로 할 것인지 장기적인 목적을 가지고 투자를 할 것인지를 정해 보세요. 또한 배당수익을 고려해 종목을 선택할 것인지, 장기적인 성장 투자에 초점을 맞춰 시작할 것인지도 중요합니다.
운용보수도 확인해야 하며 만일 직접 매매를 한 거라면 유동성(거래량)이 얼마나 되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유동성 좋은 ETF를 선택하세요.
자신이 선택한 ETF의 원 종목의 추종 여부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ETF 시작하는 순서
자, 그럼 이제 시작해 봅시다.
아무것도 모른다고 해도 처음 기본적인 개념과 위에서 말한 먼저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을 학습했다면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투자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단계별로 볼까요?
아래의 순서대로 시작합니다.
- 증권 계좌 개설
- 투자하고자 하는 ETF 선정(검색)
- 매매
- 관리 (시장 상황에 맞춰 리밸런싱)
주식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에서 계좌를 개설해야 하는데 요즘 앱(APP)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예전보다 무척 편리해졌습니다. MTS(모바일)도 가능하면 HTS를 이용해도 됩니다.
증권사에 가기 싫다면 TOSS를 이용해도 됩니다. 무척 편리해요.
ETF는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하기 대문에 지정가를 활용해 원하는 가격에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매수 타이밍을 선택해 거래하시면 됩니다.
관련 글 :
첫 시작 추천 ETF
기본적인 개념과 종류, 그리고 매매 시작 방법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음은 처음 시작할 때 보통 사람들이 추천하는 ETF 종류들로 구성해 보겠습니다. 비교적 안정적이며 꾸준하게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지수 추종 ETF 종류들입니다.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사람마다 포트폴리오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구분 | 추천 ETF |
미국 시장 ETF | - SPDR S&P 500 (SPY) - Invesco QQQ Trust (QQQ) |
국내 시장 ETF | - KODEX 200 - TIGER TOP 10 |
배당주 ETF | -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VYM) |
원자재 ETF | - SPDR Gold Shares (GLD) 금 - United States Oil Fund (USO) 원유 |
이렇게 몇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종류에 따라 자신의 성향에 맞춰 유동성과 안정성을 고려해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국내 이외에 미국 시장 거래도 많이 하는 추세라 함께 알아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마무리하며
초보자가 쉽게 시작할 수 있는 ETF라고 하더라도 분명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기 때문에 많은 공부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건 사실이에요. ETF도 주식처럼 가격이 변동하기 때문에 시장 하락 시 손실이 있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해외 ETF의 경우에는 매도 시 세금문제가 있다는 걸 알아두세요.(양도 소득세)
ETF는 초보자도 쉽게 투자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지만 이것 또한 충분한 이해와 전략적인 포트폴리오가 꼭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