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물타기 전략', 한마디로 주식 시장에서 주가가 하락할 경우 추가로 주식을 구매해서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는 전략을 말합니다. 무척 간단한 것 같지만 이것 또한 최적의 손실 비율을 위해 전략이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올바른 물타기에 대한 이야기를 해 봅니다.
| Table of Contents
올바른 물타기 전략이라는 게 있을까요?
이렇게 묻는 분들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어느 정도 자신만의 원칙을 세우고 투자를 했을 경우 투자자가 손실을 최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알아둘 것은 이 모든 것들은 원칙을 가지고 제대로 주식을 하는 분들에게 해당되는 말입니다. 먼저 아래 글을 읽어보시고 자신은 어디에 속하는 유형인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

주식투자 최적의 물타기 전략
하락장에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 하게 되는 주식 물타기는 전략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고 많이 하고 있는 만큼 시작하기 전 먼저 확인해야 하는 여러 사항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건 아닌가?
- 기업의 펀더멘털은 살아있는가?
- 주가의 하락 이유는 무엇인가?
크게 이와같이 3가지 정도인데요, 우선 보유 종목의 추매(물타기 시작 전)를 하기 전에 확인해야 하는 것들 이므로 이것들은 반드시 알아보고 확인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꼭 체크해 보세요.
나, 또 물린건가?
주식 투자 시 물타기를 해야 할 경우 통상적으로 원금대비 손실률을 계산해서 10% ~ 20% 내외의 하락이 적당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어쨌거나 이것이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사람마다 매매원칙이 있듯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세요.
물타기 준비, 시작시기 : 원금 손실률 10% ~ 20% 내외 적당
이 정도의 손실률을 계산하는 이유는 단기적 변동성으로 인한 주가 하락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자신이 정한 기업의 펀더멘털(Fundamentals)이 변하지 않았다면 주가 상승의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에서 입니다.
물론 단타 혹은 스켈핑과 같은 매매법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손실을 줄이기 위한 최적의 물타기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대부분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크게 3가지 정도의 방법으로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물타기 방법 3가지
1. 분할 물타기
말 그대로 분할 물타기는 한 번에 모든 물량을 매수하지 않는 것입니다.
일정 기간에 걸쳐 여러 차례로 나누어 매수하는 방법으로 매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손실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주가가 계속 떨어질 수 있는 불확실한 상황(불확실성) 때문인데요. 기존 매수 단가를 분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매수 금액 정하기
손절 규칙을 두고 매매를 하는 분들이라면 이 부분은 아주 중요합니다.
매수 금액은 전체 물량의 50% 이하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물타기의 단점이 손실 리스크의 증가를 최대한 보완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전체 물양의 절 반 이상을 매수하게 된다면 만약 장기적으로 하락이 이어질 경우 손실이 더욱 커질 수 있는 단점이 잇기 대문입니다. 이런 전반적인 모든 리스크들을 계산에 두어야 합니다.
3. 손절 기준 설정과 청산
마지막 3번째는 기업의 가치를 생각해 봐야 하는 부분입니다.
투자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알고 있다시피 아래와 같은 방법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해 주식을 하게 됩니다.
- 단기 매매방식
- 중·장기 방식
- 단타
- 스캘핑
- 간접투자 (펀드 외)
여기서 손절의 기준은 기업적 가치를 보고 장기적으로 투자를 하는 분들에게는 상관없는 기준일 수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이런 분들은 손실률을 계산해서 단가를 낮춤으로 이를 활용해 장기적으로 가져가는 분들이죠.
그런 것이 아니라면 손절 기준을 설정해야 합니다.
기업 가치의 하락이나 청산을 고려하고 있다면 물타기로 단가를 낮추고 최소 매수 가격의 도달 퍼센트(%)를 계산해 그 가격이 왔을 때 과감하게 청산(손절)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주가 하락 > 매수단가 + 물타기 단가 낮춤 > 손절가 확정 > 청산(손절)
덧붙임
어떻게 보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이 물타기 전략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투자자의 심리전 준비와 자금 관리 능력에 크게 의존이 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있기 때문에 물타기를 할 때는 어떤 방식으로, 얼마 큼의 금액을, 어떻게 매수해야 할지 결정하고 다양한 포트폴리오에 맞춰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동전의 양면과 같이 때에 따라서는 큰 수익을 줄 수 있지만 반대로 큰 손실을 입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가치에 따라 장기적인 투자가 아니라면 손절라인을 반드시 정하고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매매방식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기로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