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주린이라고 부릅니다. 주린이라면 알아두어야 할 내용. 보통주와 우선주는 주식 투자에서 아주 중요한 선택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두 종류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알아보고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한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Table of Contents
기본 개념, 보통주와 우선주란 무엇일까?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접하는 용어, 보통주와 우선주입니다.
먼저 이 두 가지의 기본 개념을 하나씩 살펴보고 기본적인 특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알고 있는 분들은 가볍게 패스하셔도 좋습니다.
보통주 기본 개념
보통주는 일반적으로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이 가장 흔하게 접하는 주식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것과 같이 기업의 소유권을 나눠 가진 주주로서 의결권이 주어지며 배당이 책정될 경우 각 주식수에 따라 배당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의결권 : 당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 배당금 : 해당 주식의 이익에 따라 유동적으로 배당이 결정됩니다.
- 가격의 변동성 : 현재 시장의 상황에 따라 가격의 변동이 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3가지 정도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아는 것처럼 우리가 HTS를 통해 거래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주식을 보통주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어때요, 쉽죠?
그렇다면 우선주는 뭘까요?
우선주의 기본 개념
보통주와는 약간 차이가 있는데 우선주는 그 이름이 뜻하는 것처럼 보통주와 다르게 의결권이 없지만 배당금 지급에서 우선권을 가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보통주보다는 좀 더 배당을 받아요. (약 1% 정도)
그렇기 때문에 안정적인 배당을 원하는 투자자 분들이 주로 거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이름에 (우)라고 붙는 주식을 말합니다.
우선주에도 특징일 있는데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 배당 우선권 : 보통주보다 먼저 배당을 받을 수 있다.
- 의결권 없음 :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없다.
- 안정성 : 일반적으로 보통주보다 가격 변동성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특징들이 있습니다. 이해를 위해 표로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이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해 보세요.
보통주와 우선주 차이점
기본 구분 항목 | 보통주 | 우선주 (우) |
의결권 | 의결권 있음 | 없음 |
배당금 | 유동적임 | 안정적 배당, 고정적 |
가격 변동성 | 변동성이 높음 | 낮음 |
유동성 | 높음 | 낮음 |
투자 목적 | 성장 가능성에 투자 | 안정적인 수익 (배당) |
이렇게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어떤가요? 쉽게 정리해 보자면 일반적인 성장 가능성의 투자보다는 배당으로 인한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가려는 분들이 우선주에 투자를 선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삼전의 보통주와 삼전(우)의 우선주는 차이가 있는데 삼전의 주가가 상승할 경우 일반 보통주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삼전(우)을 보유한 투자자의 경우에는 시장의 변동성 상황과 관계없이 대신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이라면 어떤가요?
주가 수익 VS 배당 수익
어떤 주식을 선택해야 할까?
자, 그렇다면 주린이라면 어떤 주식을 선택해야 할까요?
아무리 주린이라고 하더라도 이 역시 개인의 투자 성향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자신이 성장주를 중요시하는지 아니면 그보다는 안정적인 수익을 먼저 하는지를 생각해 보세요.
1. 투자 성향에 따른 선택
만약 본인이 위와 같은 조금 적극적인 성향의 투자 성향이라고 한다면 성장주 투자자에 적합합니다. 또한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찾고 그것에 중·장기적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면 보통주가 적합합니다.
여기에는 스타트업이나 기술 성장주 등이 포함됩니다.
반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성향이라고 한다면 위의 설명과 같이 우선주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됩니다. 그야말로 든든한 배당금을 꾸준하게 받는 것이죠.
- 성장성 투자 성향 - 보통주 선택
- 안정적 투자 성향 - 우선주(배당) 선택
2. 세부 기준에 따른 선택
투자 성향을 무시하고 보통주와 우선주의 세부 사항의 기준에 따라 선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에서 먼저 설명한 특징들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해당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해 봅니다.
- 배당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경우 : 우선주
- 의결권을 먼저 중요시하는 경우 : 보통주
- 장기적 성장성을 보는 경우 : 보통주
- 시장 상황의 고려 : 보통주와 우선주
말 그대로 우선주의 경우에는 고정적인 배당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 분기 일정한 현금의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 배당 수익이 훨씬 좋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그런 것보다는 기업의 의사결정에 참여를 원하는 분들이 있어요.
예를 들면 '주주총회'가 그런 것인데 보통주를 가지고 있는 분들은 주주총회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더 선호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최고의 투자 방법은?
투자의 기본은 분산! 개인적인 최고의 투자 방법은 보통주와 우선주를 결합해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이런 방법을 사용할 거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보통주를 통해 성장 가능성을 노려 중·장기 투자를 시작하고 우선주를 통해 유동성은 낮지만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확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시드머니가 어느 정도 있어야겠죠.
이런 방법으로 분산을 할 경우 안정적이고 어느 정도 수익 상승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우선주와 보통주의 기본 개념이 이해되셨나요?
더 많은 내용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참고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 링크 :